단백질 약물 뇌 전달

단백질 약물 뇌 전달: 성공과 실패의 갈림길?

단백질 약물 뇌 전달, 이것은 현대 의학에서 가장 도전적인 과제 중 하나입니다. 뇌 질환 치료의 핵심은 효과적인 약물 전달에 있습니다. 하지만, 뇌를 보호하는 혈액-뇌 장벽(BBB)은 대부분의 약물, 특히 단백질 약물이 뇌로 들어 오는 것을 블로킹하는 장벽으로써 기능을 합니다.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다양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그중 Transcytosis라는 과정을 뇌 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Transcytosis 기술의 원리, 장단점, 그리고 “LigandTracer®”를 transcytosis 연구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단백질 약물 뇌 전달: 혈액-뇌 장벽(BBB)과 Transcytosis

1) 혈액-뇌 장벽(BBB): 단백질 약물 뇌 전달의 난제

Q1. 왜 단백질 약물을 뇌에 전달하는 게 어려운가요?
A. 뇌에는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이라는 보호막이 있어서 유해한 물질이 뇌로 들어오는 것을 막습니다. 그러나 이 장벽이 너무 강력하여, 약물(특히 단백질 약물)도 뇌로 들어가지 못하게 합니다.

2) Transcytosis: 단백질 약물 뇌 전달의 혁신적 해결책

Q1. Transcytosis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요?
A. Transcytosis란 세포의 한쪽에서 물질(예: 단백질, 항체 등)을 흡수하여 세포 반대쪽으로 운반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물질을 세포막을 통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며, 특히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을 통과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 과정을 응용한 사례로는 특정 리셉터(예: Transferrin Receptor 1, TfR1)를 사용해 약물이 BBB를 통과해 뇌로 들어게 하는 것이 있습니다.

3) Transcytosis를 통한 단백질 약물 뇌 전달 가능성과 과제

Q1. 항체를 이용해 Transcytosis를 활용한 사례는?
A. 상어 항체 단편(VNAR)을 이용하여 단백질 약물을 BBB를 통해 뇌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이를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에 응용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Q2. Transcytosis를 활용할 때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A. Transcytosis는 단백질 약물이 기존 방법으로는 뇌에 도달하지 못하던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는 알츠하이머 병과 같은 질환 치료에서 특히 효과적일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4) Transcytosis를 통해 단백질 약물의 뇌 전달을 향상시켜야 하는 이유

Q1. 왜 transcytosis를 통해 단백질 약물의 뇌 전달을 향상시켜야 하나요?
A. BBB는 대부분의 약물이 뇌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가 어렵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ranscytosis 기술이 필요합니다.

5) Transcytosis를 활용할 때의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Q1. Transcytosis를 활용할 때의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A. Transcytosis를 사용한 약물 전달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어려움이 있습니다

  • 약물의 낮은 안정성: 혈액 속에서 약물이 분해되거나 제거될 가능성이 높으면 약물이 목표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효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또한 transcytosis는 세포 표면 리셉터를 통해 약물이 세포 내로 흡수되고, 다시 반대쪽 세포 표면으로 방출되는 다단계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약물이 세포 내 환경(예: 낮은 pH)에 노출될 수 있어, 안정성에 추가적인 도전을 겪을 수 있습니다.
  • 부작용: 일부 경우, TfR1 리셉터와 약물이 상호작용하면서 예상치 못한 부작용(예: 혈액 세포 파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혈구 전구 세포는 TfR1이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리셉터 친화성 차이: 인간과 동물 모델 간에 리셉터와의 결합 친화도 차이가 있어 임상시험으로 전환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2. 단백질 약물 뇌 전달 연구의 핵심 도구: LigandTracer®

1) LigandTracer®: 단백질-리셉터 결합 분석의 혁신

Q1. LigandTracer는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나요?
A. LigandTracer는 세포 표면의 TfR1과 항체 단편 간의 결합 상호작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결합 속도와 해리 속도를 평가하고, 약물이 BBB를 통과하는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 결합 속도(association rate)와 해리 속도(dissociation rate)는 BBB를 통과하는 약물의 효율성과 밀접한 관계

Q1) 결합 속도(ka)와 BBB 통과 효율성과 관계가 있나요?
A. 결합 속도는 약물이 TfR1(Transferrin Receptor 1)과 얼마나 빠르게 결합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높은 결합 속도는 약물이 TfR1에 신속히 결합할 가능성을 높여, BBB를 통한 수송(transcytosis)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BBB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약물이 리셉터에 빠르게 결합해야 하므로, 높은 결합 속도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Q2) 해리 속도 (kd)와 BBB 통과 효율성과 관계가 있나요?
A. 해리 속도는 약물이 TfR1에서 얼마나 빠르게 분리되는지를 나타냅니다.
낮은 해리 속도는 약물이 리셉터에 더 오래 결합하여 BBB를 통과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해리 속도가 너무 높다면 약물이 리셉터와 결합을 유지하지 못해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Q3) 결합 친화도(KD)와 BBB 통과와의 관계는?
A. KD는 결합 속도(ka)와 해리 속도(kd)의 비율로 계산되며, 약물과 리셉터 간의 결합 강도를 나타냅니다.
BBB 통과에 최적화된 약물은 적절히 높은 결합 속도와 낮은 해리 속도를 가져 낮은 KD 값(높은 친화도)을 가집니다. 이를 통해 약물이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습니다.

2) LigandTracer vs. ELISA: 단백질 결합 분석 방법 비교

Q1. 왜 ELISA 대신 LigandTracer를 사용했나요?
A. ELISA는 결합 여부를 정적인 환경에서 분석하지만, LigandTracer는 실시간 결합 및 해리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더 정확하고 심층적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3) LigandTracer vs. SPR: 세포 기반 실험을 위한 최적의 선택

Q1. 세포 기반 실험을 위해 LigandTracer를 SPR 대신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LigandTracer는 세포 표면에서 일어나는 결합과 해리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세포 환경을 더 잘 반영합니다. 반면 SPR은 분리된 단백질 수준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4) 세포 수준에서 측정하기 때문에 LigandTracer를 SPR 대신 사용하는 것인가요?

Q1. 세포 수준에서 측정하기 때문에 LigandTracer를 SPR 대신 사용하는 것인가요?
A. 그렇습니다. LigandTracer는 세포나 단백질과 같은 고정된 표적에서 실시간 binding kinetics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LigandTracer를 사용하여 세포 표면의 Transferrin Receptor 1(TfR1)과 항체 단편 간의 결합 과정을 관찰합니다. SPR(Surface Plasmon Resonance)은 주로 분리된 단백질 간의 결합을 분석하는 데 강점이 있지만, LigandTracer는 세포 표면에서 일어나는 결합과 해리를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세포 기반 실험에 유리합니다.

LigandTracer가 유리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세포에서 직접 실험 가능: TfR1과 같은 세포 표면 리셉터를 사용하는 연구에서는 실제 세포 환경을 반영하기 위해 LigandTracer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 실시간 분석: LigandTracer는 항체가 세포 표면 리셉터에 결합하고 해리되는 과정을 시간에 따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유연성: 세포 기반 실험은 더 복잡한 생리적 조건을 재현할 수 있어, 단백질 수준의 실험보다 더 실제적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3. 단백질 약물 뇌 전달의 연구: VNAR과 TfR1

1) VNAR: 단백질 약물 뇌 전달을 위한 새로운 항체 단편

Q1. VNAR이란 무엇가요?
A. VNAR은 “Variable domain of New Antigen Receptors”의 약자로, 상어 항체에서 유래한 단일 도메인 항체 단편을 뜻합니다. 이는 높은 안정성과 결합 친화력을 가지며 약물 전달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Q2. “Variable domain of New Antigen Receptors”라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요?
A. 이 것은 새로운 항원을 인식하기 위해 변형 가능한 도메인을 가진 단백질 영역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양한 항원을 인식하고 결합할 수 있는 구조적 특성을 말합니다.

2) TfR1: 단백질 약물 뇌 전달의 핵심 리셉터

Q1. Transferrin Receptor 1 (TfR1)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TfR1은 철분 흡수를 조절하며 혈액-뇌 장벽(BBB)을 통과하는 약물 수송의 열쇠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단백질 약물의 뇌 전달이 가능해집니다.

3) “Cross-species”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Q. “Cross-species”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 “Cross-species”는 특정 단백질이나 항체가 여러 생물 종에서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VNAR 단편 항체가 쥐와 인간 TfR1 모두와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참조]

    LigandTracer: Cell Binding Affinity, Kinetics 분석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