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B (혈액-뇌 장벽)는 뇌로 들어가는 물질을 엄격하게 통제하는 중요한 생리적 방어막으로, 신약 개발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단백질 약물과 단클론 항체는 특정 표적에 높은 특이성과 친화성을 보이며, 암, 자가면역 질환, 감염성 질환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단백질 약물들은 그 크기가 커서 접근할 수 있는 조직이 제한적이며, 특히 BBB를 통과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트랜스페린 수용체(TfR)와 같은 내재적 수용체를 통한 수송 경로를 활용하는 접근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단백질 약물의 뇌 내 전달 가능성이 열리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들은 TfR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의 설계 방식, 결합 메커니즘, 그리고 링커 길이 조절이 BBB를 통한 약물 전달 효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lwptoc title=”목차” width=”full” titleFontSize=”170%” itemsFontSize=”100%”]
1. 단백질 약물과 단클론 항체
Q1. 단백질 약물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요?
A. 단백질 약물은 크기가 크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어 표적과 높은 특이성으로 결합할 수 있습니다.
Q2. 단클론 항체의 특징과 치료 적용 분야는 무엇인가요?
A. 단클론 항체는 표적에 대해 높은 특이성과 친화성을 가지며, 암, 이식, 자가면역 질환, 염증성 질환, 심혈관 질환, 감염성 질환과 같은 분야에서 치료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Q3. 단백질 약물의 한계는 무엇인가요?
A. 단백질 약물은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접근이 용이한 특정 조직에만 적용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 BBB (혈액-뇌 장벽)와 물질 전달
Q1. 뇌로 물질이 흡수되는 것은 어떻게 조절되나요?
A. 뇌로 들어가는 물질은 혈액-뇌 장벽(BBB)이라는 보호막에 의해 철저히 관리됩니다. BBB는 뇌를 보호하는 울타리처럼 작용하며, 내피 세포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틈이 거의 없고, petriycyte와 astrocyte가 이를 더욱 견고하게 지원합니다. 덕분에 몸에 해로운 물질은 뇌에 쉽게 들어올 수 없지만, 이로 인해 약물 전달이 까다로울 수도 있습니다. 즉, 뇌는 꼭 필요한 물질만 들어올 수 있도록 강력한 “출입 통제 시스템”을 갖고 있는 것입니다.
Q2. 큰 분자인 단백질은 뇌에 어떻게 접근하나요?
A. 큰 분자인 단백질은 특별한 메커니즘 없이 자연스럽게 뇌로 이동할 수 없습니다. 정맥 주사된 항체의 뇌 간질액 도달 비율은 투여량의 0.05~0.1% 미만으로 추정됩니다.
Q3. 단백질 약물을 뇌로 전달하기 위한 접근법은 무엇인가요?
A. 단백질 약물을 뇌로 능동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트랜스페린 수용체(Transferin receptor, TfR)와 같은 내재적 수용체를 매개체로 활용하는 전달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3. 트랜스페린 수용체(TfR)의 특성과 기능
Q1. 트랜스페린 수용체(TfR)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요?
A. TfR은 homodimeric receptor로, 혈액-뇌 장벽(BBB)의 내피 세포 상단 표면에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어 뇌로 철 수송을 하는 기능을 합니다.
Q2. 철과 트랜스페린(Tf)의 BBB를 통한 수송 과정은 잘 이해되고 있나요?
A. BBB 내피 세포 (endothelial cell)를 통과하는 철, 트랜스페린(Tf), 그리고 TfR 표적 항체들의 정확한 수송 메카니즘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Q3. 적혈구에서의 철 수송 메커니즘은 무엇인가요?
A. 적혈구에서 철을 함유한 트랜스페린(holoTf)은 TfR에 결합하고, 복합체는 엔도솜에서 낮은 pH 조건에서 철이 Tf에서 분리되며, 철은 세포질로 이동하고 TfR과 Tf는 재활용되어 적혈구 세포막으로 돌아갑니다.
Q4. BBB 내피 세포에서의 철과 Tf 수송 메커니즘은 논쟁 중인 부분이 있나요?
A. 철이 엔도솜 내에서 TfR-Tf 복합체에서 분리되는지, 아니면 holoTf 복합체 형태로 뇌 간질로 방출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습니다. 또한, BBB 내피 세포에서 exocytosis 대신 holoTf가 엑소좀 형태로 뇌로 방출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Q5. TfR 표적 항체의 BBB 통과 경로를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A. BBB 내피 세포에서의 TfR과 Tf의 자연적인 이동 패턴이 TfR 표적 항체의 트랜스사이토시스 (transcytosis) 경로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항체-TfR 상호작용의 kinetics와 affinity에 특정한 조건을 필요로 합니다.
4. 항체와 트랜스페린 수용체의 상호작용
Q1. TfR에 높은 친화도로 결합하는 항체가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A. 항체가 TfR에 높은 친화도로 결합하면 TfR/리간드 복합체는 리소좀으로 이동하게 되고 여기에서 복합체의 분해가 일어나게 됩니다.
Q2. TfR의 bivalent binding의 영향은 무엇인가요?
A. Bivalent binding은 TfR 간의 교차 연결 (crosslinking)을 유도하여 세포 표면에 더 큰 TfR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합니다. 이 결과로 TfR/리간드 복합체의 내재화 (endocytosys)가 느려지고, 세포내에 있는 복합체는 원래의 고유 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고 내피 세포 내에서 머무르게 되며, 리소좀 분해와 TfR의 다운레귤레이션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Q3. TfR 교차 연결과 항체 농도는 어떠한 관계인가요?
A. TfR의 교차연결 (crosslinking)이 endocytosis 효율을 저하시킨다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항체 농도가 낮은 경우, TfR 교차 연결이 무시할 정도로 미미하며, bivalent 항체가 monovalent로 TfR에 결합하는 결합체보다 BBB를 통과하는 데 더 효과적입니다. 반면, 농도가 높은 경우, monovalent, low affinity의 TfR 결합제가 bivalent 결합제보다 더 높은 뇌 흡수를 보여줍니다. 이는 monomeric 결합제가 TfR을 교차 연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5. 이중 항체 결합 특성 및 BBB 통과
Q1. 항체의 이가(bivalent) 결합이 가지는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요?
A. 항체의 이가 결합은 항체가 가진 두 개의 결합 부위가 동시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아비디티(avidity) 효과로 인해 전체적인 결합 강도가 증가합니다. 이는 주로 해리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두 결합 부위가 모두 표적과 결합하게 되면 항체가 표적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질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합니다.
Q2. mAb-scFv 이중항체의 설계 사례는?
A. mAb-scFv는 대칭적 구조를 가진 이중특이적 항체로, 아밀로이드-β(Aβ) 프로토피브릴을 표적으로 하는 mAb 항체에 TfR1(mTfR)을 인식하는 단일 사슬 가변 조각(scFv)이 각 경쇄의 C-말단에 연결된 형태입니다. 이 두 부분은 11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유연한 링커를 통해 융합되어 있습니다.
Q3. mAb-scFv 항체가 BBB 통과에서 보이는 주요 성과는 무엇인가요?
A. mAb-scFv는 일반 mAb 단독 사용 대비 낮은 농도에서도 80배 높은 뇌 흡수율을 보였습니다. 또한 mTfR에 대한 결합 강도는 완전한 scFv 모항체와 비교했을 때 10배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Q4. mAb-scFv 항체의 링커 길이 변형이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A. 링커 길이를 다양하게 변형한 결과, TfR에 대한 기본적인 친화도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짧은 링커(-2 아미노산과 1 아미노산) 변형은 높은 항체 농도에서도 BBB 통과율을 개선했으며, 단량체(monomeric) 결합제와 유사한 수준의 세포 투과 이동(transcytosis)을 나타냈습니다.
Q5. 짧은 링커 변형 항체가 가지는 이점은 무엇인가요?
A. 짧은 링커로 변형된 항체는 TfR의 교차 연결 가능성을 감소시켜 낮은 농도와 높은 농도 모두에서 BBB 통과율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Aβ 프로토피브릴과 같은 응집된 표적에 대해서는 결합력(avidity)이 증가하는 효과를 보입니다.
[참조]